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성씨/시조

덤프버전 :


1. 개요
2. 목록
2.1. 상고
2.2. 원삼국시대
2.3. 삼국시대
2.4. 남북국시대
2.4.1. 9세기
2.5. 고려시대
2.5.1. 10세기
2.5.2. 11세기
2.5.3. 12세기
2.5.4. 13세기
2.5.5. 14세기
2.6. 조선시대
2.6.1. 15세기
2.6.2. 16세기
2.6.3. 17세기


1. 개요[편집]


한국의 성씨시조들을 정리하는 문서.


2. 목록[편집]


  • 시대, 세기로 분류하고 시조 개인은 생년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 생년 미상의 경우, 대체적인 연도를 추정할 수 없으면 마지막에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
  • 창성창본이 급증한 21세기의 시조는 별도의 기준 마련 전까지 추가하지 않는다.

2.1. 상고[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고을나제주 고씨한라산 모흥혈미상[A]탐라국 시조 신화.
부을나제주 부씨한라산 모흥혈미상[A]탐라국 시조 신화.
양을나제주 양씨한라산 모흥혈미상[A]탐라국 시조 신화.
배천생달성 배씨단군조선, 남해미상달성배씨 시조신화.
경여송태인 경씨미상조선에 동래하는 기자를 호종했다고 전한다.
궁흠토산 궁씨미상조선에 동래하는 기자를 호종했다고 전한다.
선우송태원 선우씨기자조선미상[1]기자의 아들. (『태원선우씨세보』)
공자곡부 공씨, 창평현 추읍BC 551년 ~ BC 479년후손 공소가 고려에 귀화해 창원을 본관으로 했다고 전한다.


2.2. 원삼국시대[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박혁거세-진한, 서라벌 나정BC 69년 ~ 4년전세계 절대다수 박씨의 시조.
황락-서한, 절강BC 30년 ~ ?여러 황씨의 시조. 유례 이사금 때 표류해 사로국에 이르렀다고 전한다. (『동국만성보』)
석탈해경주 석씨다파나국BC 19년 ~ 80년
이알평경주 이씨진한, 알천 양산촌미상
소벌도리경주 최씨진한, 돌산 고허촌미상신라계[2] 최씨의 시조.
구례마경주 손씨
밀양 손씨
진한, 무산 대수촌미상여러 손씨의 시조.
지백호경주 정씨진한, 자산 진지촌미상여러 정씨의 시조.
지타경주 배씨진한, 금산 가리촌미상여러 배씨의 시조.
설거백순창 설씨진한, 명활산 고야촌미상본관이 순창이 된 것은 고려 인종 시기다.
허황옥-아유타국32년 ~ 189년여러 허씨의 시조.
마려장흥 마씨
목천 마씨
고구려미상십제공신.
전섭-고구려미상여러 전씨의 시조. 십제공신이라고 전한다.
조성직산 조씨고구려미상십제공신이라고 전한다.
기우량청주 한씨마한미상기자의 후손으로 마한왕의 아들.
기우성행주 기씨마한미상기자의 후손으로 마한왕의 아들.
기우평태원 선우씨마한미상기자의 후손으로 마한왕의 아들. (『행주기씨보』)
김수로김해 김씨변한, 구지봉42년 ~ 199년알에서 태어나 금관국(금관가야)을 세웠다고 전한다.
김말로고성 김씨변한, 구지봉42년 ~ ?알에서 태어나 고자국(소가야)을 세웠다고 전한다.
고로왕[3]함창 김씨변한, 구지봉42년 ~ ?알에서 태어나 고령가야(사벌국?)를 세웠다고 전한다.
김알지경주 김씨진한, 서라벌 시림65년 ~ ?신라계 김씨 여러 가문의 시조.
제갈규남양 제갈씨동한? ~ 187년후손 제갈충이 신라 말에 귀화했다고 전한다.

2.3. 삼국시대[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문다성남평 문씨백제, 무진군 미동부리현472년 ~ ?고려 건국까지 살아 삼한벽상공신이 됐다고 전한다.[4]
강이식진주 강씨고구려550년? ~ ?
온달봉성 온씨고구려? ~ 590년
이무연안 이씨, 감숙성 농서현600년대 초반? ~ ?당 황실과 같은 뿌리라고 하며 나당연합 때 소정방의 부장으로 신라에 와서 공을 세워 식읍 1000호를 받고 연안후에 봉해졌다. 후에 귀빈으로 대접을 받고 신라의 여인과 결혼하여 세계를 이어갔다.
부여융부여 서씨백제615년 ~ 682년
대걸걸중상-, 요서 영주? ~ 698년?여러 태씨의 시조. 발해의 사실상 건국자.
방지온양 방씨미상신라에 사신으로 와 가유현에 정착했다고 전한다.
소경진주 소씨신라미상상대등을 지낸 알천의 이름이 '소경'이고 소벌도리의 후손이라 전한다. (『부소보(扶蘇譜)』 등)
원경원주 원씨미상고구려에 사신으로 와 보장왕으로부터 공신호를 받았다고 전한다.
유삼재기계 유씨신라미상아찬을 지냈다고 전한다.
이자성광주 이씨신라미상내물 마립간 시기 내사령을 지냈다고 전한다.
조계룡창녕 조씨신라미상진평왕의 사위라고 전한다.
함혁강릉 함씨
양근 함씨
신라, 양근현미상신라의 호족으로 왕규의 15대조라고 전한다.
형옹진주 형씨미상영류왕 시기 고구려에 사신으로 왔다고 전한다.
홍천하남양 홍씨미상영류왕 시기 고구려에 사신으로 왔다고 전한다.


2.4. 남북국시대[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강여청금천 강씨고구려미상강감찬의 5대조로 시흥군(금천)으로 이주했다.
고인승횡성 고씨고구려미상보장왕의 아들로 안승의 형.
국조개성 왕씨고구려미상
김재영안성 김씨신라미상내물 마립간의 후손으로 진덕여왕 시기 전공을 세웠다고 전한다. (『안성김씨파보(安城金氏派譜)』)
김주원강릉 김씨신라미상
남민-미상여러 남씨의 시조. 경덕왕 시기의 인물이다.
송순공진천 송씨신라미상헌강왕 시기 대아찬을 지냈다고 전한다.
양우량남원 양씨[5]신라미상경덕왕 시기 남원백에 봉해졌다고 전한다.
엄임의영월 엄씨미상경덕왕 시기 사신으로 왔다가 돌아가지 못하고 영월에 정착했다고 전한다.
이순유성주 이씨신라미상문성왕 시기 이부상서를 지냈다고 전한다.
이한전주 이씨신라미상
전선정선 전씨백제미상정선 전씨의 시조 또는 중시조. 성덕왕 시기의 인물.
호경신천 강씨고구려미상국조의 장인. 고구려계 신라인이다. (『편년통록』)


2.4.1. 9세기[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김총순천 김씨신라, 영취산825년? ~ ?순천의 호족으로 후삼국시대 후백제를 도왔다고 전한다.
아자개상주 견씨신라미상사벌주(상주)의 호족. 본인 성은 견씨가 아닌 이씨다.
최치원경주 최씨신라, 금성 사량부857년 ~ 908년?경주 최씨의 시조 또는 중시조.
이총언벽진 이씨신라858년 ~ 938년벽진군(성주)의 호족.
견훤황간 견씨
전주 견씨
신라, 상주 가은현867년 ~ 936년후백제의 왕.
유차달문화 류씨신라, 유주880년 ~ ?유주의 호족.
신숭겸평산 신씨신라, 광해주882년? ~ 927년
김락당악 김씨신라? ~ 927년문성왕의 후손으로 공산 전투에서 전사한다.
전락천안 전씨백제? ~ 927년천안 전씨의 시조 또는 중시조. 삼한벽상공신으로 신숭겸과 함께 죽었다고 전한다.
배현경경주 배씨신라, 경주? ~ 936년경주 배씨 처사공파의 시조.
홍유의성 홍씨신라, 의성부? ~ 936년
홍은열남양 홍씨남양 홍씨 당홍계의 시조 또는 중시조. (『남양홍씨판밀직공파보』)
유금필평산 유씨
무송 유씨
고구려? ~ 941년평산의 호족.
구존유능성 구씨백제삼한벽상공신이라 전한다.
권행안동 권씨신라미상신라 왕족 출신으로 본래는 김씨였으나 태조가 권씨 성을 하사했다.
김선궁선산 김씨신라, 선산부미상문성왕의 후손, 선산의 호족.
김선평안동 김씨신라미상안동의 호족.
김흥광광산 김씨신라미상신라의 왕자. 무진주로 이사했다.
김철중화 김씨신라미상문성왕의 후손으로 김락의 동생이라고 전한다.
라종례금성 라씨신라미상삼한벽상공신이라 전한다.
박언립죽산 박씨신라미상경명왕의 4남.
박언성고령 박씨신라미상경명왕의 차남.
박언침밀양 박씨신라미상경명왕의 장남.
박언창상주 박씨
평택 박씨
신라? ~ 929년경명왕의 5남.
박언화무안 박씨신라미상경명왕의 6남.
박영규순천 박씨신라, 승주미상
박지윤평산 박씨고구려미상평주의 호족.
배위준성주 배씨미상삼한벽상공신이라 전한다.
백우경수원 백씨백제?미상[[황제(중국 신화)|정황상 백제 유민일 가능성이 있다.
복지겸면천 복씨신라미상
서신일이천 서씨백제, 신라미상이천의 호족. 사냥꾼에게서 사슴을 숨겨줬다는 설화의 주인공.
손순경주 손씨
밀양 손씨
신라미상여러 손씨의 시조. 신라 흥덕왕 시기의 인물이다.
여어매함양 여씨미상황소의 난을 피해 신라에 귀화했다고 전한다.
염형명파주 염씨미상삼한공신 사도. 아들은 군기승 염위, 손자는 염가칭.
오다련나주 오씨신라, 금산군미상나주의 호족으로 고려 태조의 장인.
유천궁정주 류씨고구려, 정주미상정주(개풍군)의 호족으로 고려 태조의 장인.
윤신달파평 윤씨고구려, 내소군 파평현미상삼한벽상공신.
은홍열행주 은씨미상당(唐)나라 8학사 중 한명으로 850년(문성왕 12년)에 신라로 건너와 태자태사, 보문각대제학을 역임했다고 한다.
이능일성산 이씨신라미상강공훤과 원병을 이끈 원윤 능필이 능일이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고려 태조의 장인이었다고 전한다.
장정필안동 장씨신라, 미상신라에 망명한 장원의 아들로 경순왕 시기 신라에 돌아온다.
정덕성압해 정씨800 ~ 894당문종 시기의 인물. 여러 정씨의 시조라고 전했는데, 후대 정약용에 의해 부정됐다.
정예진주 정씨미상삼한벽상공신으로 문하시중을 지냈다고 전한다.
조맹풍양 조씨미상고려의 개국공신, 태조의 신하로 평장사를 역임한다. (『고려사』[6])
정회문동래 정씨고려, 동래군미상
차효전연안 차씨고구려, 유주미상유차달의 장남. 고려 건국에 기여했다고 전한다. (『차원부설원기』)[7]
최필달강릉 최씨신라미상강릉 최씨 경주계의 시조. 강릉의 호족으로 고려의 개국공신이면서 최승로의 증손이라고 전한다.
최흔낭주 최씨신라, 낭주미상낭주의 호족, 최지몽의 부친.
한총례단주 한씨고구려미상광록소경을 지냈다. 한언공의 부친.
허선문양천 허씨신라, 공암촌미상고려 건국에 기여했다고 전한다.
황보능장영천 황보씨신라, 고울부미상영천 황보씨의 시조 또는 중시조. 고울부(영천)의 호족.
황보제공황주 황보씨고구려, 황주미상패서 황주의 호족으로 고려 태조의 장인.


2.5. 고려시대[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최온해주 최씨고려, 해주 대령군미상소벌공의 후손이며, 시중 최승노(崔承老)의 삼종질이라 전한다. 성종때의 해주의 호족 출신 목민관이라고 하며, 사후 태자태보에 증직 되었다.
민칭도여흥 민씨불명(고려 혹은 )미상경기도 여주의 마암굴에서 솟아나와 민씨를 칭하였다는 설화와 북송에서 사신으로 와서 고려에 정착했다는 설화가 모두 전해오나 문헌적, 고고학적 근거가 부족해 두 설 중 어느 설이 정확한지 알 수 없다.
박선함양 박씨고려미상경명왕의 3남 박언신의 후손.
박영충주 박씨고려, 충주미상경명왕의 5남 박언창의 후손.
박응주반남 박씨고려미상박언침의 후손.
박항영암 박씨고려미상박언침의 후손.
위수여강화 위씨미상
임온풍천 임씨, 절강성 소흥부 자계현미상후손 임주가 충렬왕 시기 고려에 정착했다.
전학준옥천 전씨고려미상
정예, 정자우, 정장, 정헌진주 정씨고려미상크게 네 개의 계통으로 나뉜다. 역사적으로 가장 대성하고 번성했던 것은 정예의 후손들이다.
서한대구 서씨고려미상
송대원은진 송씨고려미상판원사[8]를 지냈다고 한다.
양경문남원 양씨[9]고려미상지영월군사를 지냈다고 전한다.
정윤종나주 정씨(丁)고려, 전라도 압해현미상고려 중기의 무신. (『월헌첩』)
채경연평강 채씨고려미상고려에서 감찰규정[10]을 지냈다고 전한다.
황온인평해 황씨고려미상평해 황씨의 시조 또는 중시조. 금오장군 태자검교를 역임했다고 전한다.

2.5.1. 10세기[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지경충주 지씨, 홍농903년 ~ 1003년고려 광종 시기인 960년 북송에서 고려에 사신으로 왔다가 정착했다고 전한다.
최지몽낭주 최씨마진, 낭주907년 ~ 987년낭주의 호족 최흔의 아들.
조지린배천 조씨 또는 고려 백주 은천현? ~ 1011년위왕 조덕소의 아들로 송태조 조광윤의 손자다. (『증보문헌비고』) 다만 송서에는 관련 내용이 없다.
지채문봉산 지씨
봉주 지씨
고려? ~ 1026년고려 현종 시기의 무신.
하공진진주 하씨고려, 백제? ~ 1011년진주 하씨 시랑공파의 시조.
김긍필안산 김씨고려, 수주 안산군미상김은부의 부친으로 사후 안산군개국후로 추증된다. 같은 수주 출신 이허겸과는 사돈 관계.
김덕지울산 김씨신라, 경주미상경순왕의 아들로 학성부원군에 봉해졌다. (『증보문헌비고』 등)
김석의성 김씨고려미상경순왕낙랑공주의 아들로 김중석(金重錫)이라고도 한다. (「김은열묘지명」)
김선언양 김씨고려미상경순왕낙랑공주의 아들이다. (「김은열묘지명」)
김위옹삼척 김씨고려미상경순왕의 손자로 실직군을 봉지로 받는다. (「실직군왕망제단비」)
남궁원청함열 남궁씨고려, 전주 함열현미상고려 성종 시기 여진족과 싸워 공을 세웠다고 전한다.
도순성주 도씨고려미상고려 성종 시기 전리상서를 역임했다고 전한다.
변정실초계 변씨고려미상고려 성종 시기 급제해 문하시중까지 이르렀다고 전한다.
승개연일 승씨
광산 승씨
고려미상고려 정종 시기의 장군.
오인유해주 오씨미상해주 오씨 경파의 시조. 성종 시기 해주에 정착한다.
왕유강릉 왕씨미상고려 태조의 아들로 원보였다. 왕총지의 조상. (『증보문헌비고』)
여선재의령 여씨미상부여풍의 후손으로 고려 숙종 때 고려에 정착했다고 전한다.
우현단양 우씨고려미상우(하나라)의 후손으로 고려 초에 귀화하고 1014년 급제해 벼슬을 지냈다고 전한다.
유승비강릉 유씨고려미상고려 문종 때 중국에서 귀화한 유전의 후손이다. 한고제 유방의 후손이라고 전한다.
육보옥천 육씨, 절강성미상927년 한반도에 들어왔으며 경순왕의 부마였다고 전한다.
이허겸인천 이씨고려, 수주 소성현미상선조는 가야계에서 비롯함. 원성왕후 김씨의 외조부.
이황고성 이씨고려미상고려 덕종 시기 교위로서 거란군을 생포하는 공을 세웠으며 문종 시기 호부상서에 오른다.
정배걸초계 정씨고려미상고려 현종 ~ 문종 시기의 인물이다.
조정함안 조씨후당미상고구려 유민 후손.
주중소나주 주씨고려미상고려 목종 시기의 인물이다.
진함조남원 진씨고려미상고려 현종 시기의 인물이라고 전한다.
최순작전주 최씨
완산 최씨
고려미상완산 최씨, 전주 최씨 문열공계의 시조.
최흔봉강릉 최씨신라미상강릉 최씨 전주계의 시조. 고려 태조의 부마였다고 전한다.
허강안하양 허씨고려미상말년에 하주의 척리(刺吏)를 지냈다고 하는데, 아마 자사(刺史)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11]
황경장수 황씨신라미상경순왕의 부마였다고 전한다. (『장수황씨세보』)


2.5.2. 11세기[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오학린고창 오씨고려, 전라도 고창현1009년 ~ ?
신수거창 신씨, 동경 개봉부? ~ 1101년고려 문종 시기에 배를 타고 고려에 왔으며 참지정사로 은퇴한다.
김한충선산 김씨고려1043년 ~ 1120년김알지의 후손으로 김유렴의 현손자.
최사전탐진 최씨고려, 전라도 탐진현1069년 ~ 1139년의사 출신으로 고려 인종 시기 공을 세워 배향공신이 된다.
길당해평 길씨미상송나라에서 온 8학사의 일원으로 고려 문종 시기에 정착했다고 전한다.
나부나주 나씨, 예장군미상송나라에서 사신으로 왔다가 본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정착했다고 전한다.
이경조고부 이씨고려미상최충의 9재 학당 출신으로 고려 문종부터 고려 숙종까지를 섬겼다고 전한다.
이윤경한산 이씨고려미상한산 이씨 호장공계의 시조. 권지호장을 지냈다고 전한다.
이정광산 이씨고려미상향공진사를 지냈다고 전하며 8세손이 충숙왕 시기의 사람이다. 그 외에 여요전쟁에서 활약했다는 이종금을 시조로 보는 입장도 있다.
임호장흥 임씨고려, 나주 정안미상상서공부원외랑을 지냈으며 태자태부에 추증된다. (임의묘지명)
장금용인동 장씨고려미상인동 장씨 상장군계의 시조.
진총후여양 진씨고려미상이자겸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여양군에 봉해졌다고 전한다. 무신 진준의 아버지.
척위공곡산 척씨고려미상검교대장군으로 척준경의 아버지.
최천로삭녕 최씨고려미상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다고 전한다.
허염김해 허씨고려미상[12]


2.5.3. 12세기[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김거공원주 김씨고려, 북원? ~ 1163년고려 의종 시기의 재상.
김존중용궁 김씨고려, 용궁군? ~ 1156년고려 의종 초의 권신.
곽경현풍 곽씨, 관서 홍농1117년 ~ ?포산군에 봉해졌다고 전한다.
이용상화산 이씨대월 리 왕조, 승룡1174년 ~ ?
석린충주 석씨고려? ~ 1187년미천한 출신으로 병마사까지 이른다. 북송 출신이나 신라 왕족 출신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문장필강릉 문씨고려, 강릉군? ~ 1190년
김지대청도 김씨고려1190년 ~ 1266년
김섬한연안 김씨고려미상고려 명종 시기 과거에 급제했다고 전한다.
김시흥김녕 김씨고려미상묘청의 난을 진압해 김녕군에 봉해졌다고 전한다.
목효기사천 목씨고려, 사주미상낭장을 지냈다고 전한다.
변려황주 변씨, 농서미상북송이 망한 뒤 고려로 이주했다고 전한다.
송유익여산 송씨고려미상아들 송숙문이 고려 원종 때 정당문학을 역임했다고 전한다.
안자미순흥 안씨고려미상
오현보해주 오씨고려미상해주 오씨 향파의 시조. 중국에서 신라로 이주한 오첨의 후손이다.
용득의홍천 용씨고려미상1241년 문하시중에 올라 팔만대장경 제작을 감독했다고 전한다.
이공정우봉 이씨고려미상무신정권기의 무신, 이자성의 부친.
이돈수덕수 이씨고려미상거란 유민들의 고려 침공강동성 전투에서 활약한다.
임춘예천 임씨고려미상죽림고회의 일원.
장서아산 장씨북송미상북송말 고려로 망명하여 아산군으로 봉하여졌다고 전한다.
전득시담양 전씨고려, 전라도 담양군미상고려 의종 시기 좌복야, 참지정사를 지냈다고 전한다. 담양읍 향교리에 묘소가 있다.
정숙해주 정씨고려미상고려 신종 시기 과거에 급제한다.
조지수한양 조씨고려, 양광도 한양부미상쌍성총관 조휘의 부친.
최세기화순 최씨고려미상평장사를 지냈고 오산군에 봉해졌다고 전한다.
추엽추계 추씨미상'적부라(籍符羅)'를 지내다가 고려에 왔다고 전한다.
현담윤연주 현씨고려, 안북대도호부 연주미상조위총의 난에 가담하지 않고 진압한 공으로 장군에 오른다. 현덕수의 부친.

2.5.4. 13세기[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김방경안동 김씨고려, 경상도 안동부1212년 ~ 1300년경순왕의 원손.
장순룡덕수 장씨1255년 ~ 1297년회회인. 부친 장경(또는 장순경)은 원세조를 섬겼다.
이언충서림 이씨고려, 청주 전의현1273년 ~ 1338년광정대부 정당문학 첨의평리 예문관대제학 지춘추관사를 역임했다. (「이언충묘지명」)
이임간장수 이씨고려, 남원부 장수현1262년 ~ 1327년문하시중평장사를 역임했으며 장천부원군에 봉해졌다.
제문유칠원 제씨고려, 칠원현1266 ~ 1339제갈량의 37세손이라 전해짐.
김보서흥 김씨고려미상경순왕의 후손이라 전한다.
문필대인천 문씨고려미상심온의 외조부.
서진달성 서씨고려미상[13]
성인보창녕 성씨고려미상고려 고종 시기에 창성한다.(창성한 시기는 정확하진 않으나 고려 고종 재위기간인 1213년에서 1259년 사이에 창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장계인동 장씨고려미상인동 장씨 직제학계의 시조.
좌형소제주 좌씨미상좌구명의 먼 후손으로 원 간섭기 탐라총관부의 감목관으로 부임했다고 전한다.
주잠신안 주씨남송미상주자의 증손이다.
최영규수성 최씨고려미상경순왕의 후손으로 1261년 과거 급제, 1302년 충렬왕으로부터 최씨 성을 하사받았다고 전한다.
홍선행남양 홍씨고려미상남양 홍씨 토홍계의 시조. 고려 고종 시기 금오위 별장동정을 지냈다고 전한다.
홍지경풍산 홍씨고려미상고려 고종 29년인 1242년 장원 급제한다.

2.5.5. 14세기[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남광보고성 남씨고려미상고령 남씨의 시조 또는 중시조. 충렬왕 시기의 인물이다.
남군보의령 남씨고려미상의령 남씨의 시조 또는 중시조. 충렬왕 시기의 인물이다.
남홍보영양 남씨고려미상영양 남씨의 시조 또는 중시조. 충렬왕 시기의 인물이다.
장종행거창 장씨미상충렬왕 시기의 인물이라고 전한다.
심홍부청송 심씨고려미상충렬왕 시기의 인물이다.
임비나주 임씨고려미상충렬왕을 호종해 공신에 오른다.
최문한강릉 최씨고려미상강릉 최씨 강화계의 시조. 충숙왕의 부마였다고 전한다.
송유충청주 송씨고려미상[14]조선 개국 당시 청원군에 봉해졌다.
명옥진명씨원나라, 수주(隨州)1330년, 1331년 ~ 1366년아들 명승(明昇)이 강제로 고려에 귀화되었다.
이지란청해 이씨여진, 북청1331년 ~ 1402년
변안열원주 변씨, 심양1334년 ~ 1390년노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에 들어온 뒤로 정착했다.
설장수경주 설씨, 설련하1341년 ~ 1399년
천암영양 천씨, 서촉 종북산 천고봉 만인암 밑1350년 ~ ?후손 천만리가 조선으로 귀화한다.
배원룡분성 배씨고려미상공민왕 시기의 인물. 조부인 배헌을 분성 배씨의 시조로 보기도 한다.
송경연안 송씨고려미상공민왕 시기의 인물. 연안부원군에 봉해졌다.
양기청주 양씨미상노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에 들어온 뒤로 정착했다고 전한다.
이양길청안 이씨고려? ~ 1356공민왕에게 직간하다 노여움을 사 제주판관으로 좌천되고, 제주 목호 홀고탁의 난을 진압하다가 순절하였다고 전한다.
선윤지보성 선씨미상고려 우왕 때인 1382년 사신으로 왔다가 정착했다. (『순조실록』)
피위종-미상여러 피씨의 시조. 금오위상장군을 지내다 고려 말에 정착했다고 전한다.
계석손수안 계씨미상홍무제조선에 들어온 뒤로 정착했다고 전한다.
김지효괴산 김씨미상조선 태종 시기 과거에 급제했다고 전한다.

2.6. 조선시대[편집]



2.6.1. 15세기[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골귀손강화 골씨조선, 평안도 영변미상

2.6.2. 16세기[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김충선김해 김씨일본1571년 ~ 1642년임진왜란 참전 장수로 조선에 귀화했다.
김성인함박 김씨일본? ~ 1637년?김해 김씨 향화공파 또는 함박 김씨의 시조. 김충선의 기록에는 병자호란 쌍령 전투에서 죽었다고 하는데, 향화공세보의 기록과는 차이가 있다. #
가유약소주 가씨, 강소성 소주? ~ 1630년정유재란 때 부산에서 전사한다. 손자 가침이 조선에 정착했다.
두교림두릉 두씨미상아들 두사충이 조선에 정착했다.
석담해주 석씨미상석성의 아들로 조선에 망명했다.
석성성주 석씨미상석성의 아들로 조선에 망명했다.

2.6.3. 17세기[편집]


이름본관출신생몰년도설명
진영소광동 진씨, 광동성 옹원현미상진린의 손자, 진구경의 아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1:44:24에 나무위키 한국의 성씨/시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C고려사』 등에서 인용한 『탐라지(耽羅志)』 기록에 따르면 태초(太初)라고 한다.[1] 대략 기원전 11~10세기(...).[2] 경주, 전주(순작, 균, 군옥), 해주, 강릉(필달), 동주, 영흥 등.[3] 고로왕 백진.[4] 실존 인물(?)이 맞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음.[5] 梁씨.[6] 조운흘 열전의 묘지명에서 인용.[7] 그러나 유차달을 시조로 하는 문화 류씨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류·차 논란 문서를 참고.[8] 원(院)의 판사. 원은 한림원(예문관)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9] 楊씨.[10] 감찰규정은 고려 후기에 바뀐 이름으로 그 전에는 감찰어사였다.[11] 하양현이 하주자사로 불린 시기는 995년에서 1018년 사이다.[12] 출생년은 문종 시기다. #[13] 1260년에서 1280년 사이 추정.[14] 충숙왕때 태어나 1405년 쯤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